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성공의 선택
- 10년 경험
- 우리 몸의 세가지 보물
- 아름다운 꽃
- 직업
- 부자의 약속
- 인재난
- 부자
- P세대
- 부자의 세계
- 신오복
- 온고지신
- 행복
- 아름다운 세상
- 경제의 힘
- 성공의 지혜
- 부자의 길
- 성공의 길
- 부자의 인생
- 부자의 삶
- 성공
- 새로운 삶
- 지도자의 3가지 조건
- 새로운 도전
- 돈과 여자
- 부자의 땅
- 신삼강오륜
- 상선약수
- 한국인의 저력
- 성난 황소의 돌진
- Today
- Total
시철과 신념
즐기는 축구 본문
[만물상] 즐기는 축구
|
▶“우리 고장 팀이 이긴 날 사랑을
고백하면 뜻을 이룬다.
진 날 구애하면 따귀를 맞는다.”
축구에 울고 웃는 이탈리아 사람들
은 프로리그의 승패를 일상의 길흉
으로 여긴다.
브라질에선 승리한 도시의 이튿날
공장 생산율이 12.3% 늘고, 패하
면 사고율이 15.5% 증가한다는 통
계가 있다.
잉글랜드가 1966년 월드컵에서 우
승하자 이민 떠나는 사람이 급감하
더니 4년 뒤 4강에도 들지 못하자
이민자가 급증했다고 한다.
▶세상이 어수선할수록 축구도 거
칠어진다고 한다.
2차대전 직전인 1938년 월드컵에
선 한 경기당 평균 4.67골이 터졌
다.
한국전과 경제불안이 겹친 1954년
엔 5.38골까지 치솟았다.
평화가 정착된 60년대 이후엔 평균
3골을 넘지 않았고 80년대부터는
2골에서 맴돌고 있다.
사회가 평화롭고 안정되면 안전한
수비축구가 득세하고, 전쟁과 불황
이 닥치면 사람들도 투쟁적·모험적
으로 바뀌어 공격축구가 성하다는
이론의 근거다.
▶‘미친 서포터가 돼 보지 않고 사
랑이 무언지 어찌 알겠니…
추가시간에 경기를 져보지 않고 눈
물이 무언지 어찌 알겠니’(월터 사
아베드라·절대로).
사람들은 오늘 왜 축구에 열광하는
가.
삶이 너무 뻔하고 예의 바르고 안
전하기 때문일 것이다.
인간은 본능적으로 불확실성, 위
기, 위험 같은 것을 먹고살기 원한
다.
그 갈망을 축구장의 질풍노도가 대
신 채워준다.
영웅이 사라진 시대, 축구라는 현
대의 이교(異敎)는 선수들에게 신
을 닮은 영웅의 서사를 원한다.
▶내일 새벽 1시 월드컵이 개막한
다.
월드컵에 관한 한 한국사회는 전폭
지지라는 완벽한 합의를 이룬 것
같다.
마치 국운이라도 걸린 듯하다.
축구는 그러나 즐기는 것이다.
축구가 펼쳐내는 드라마와 경기의
아름다움에 빠져보자.
모든 것 다 걸듯 하지 말고 한바탕
난장 축제의 생명력을 누려보자.
“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축구를 사
랑하는 것이다.” 펠레의 말이다.
'성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즐기는 축구 (0) | 2006.06.13 |
---|---|
[스크랩] 내면이 외면을 지배한다 (0) | 2006.06.08 |
삼분지계의 지혜를 배워라 (0) | 2006.06.05 |
[스크랩] [호주멜버른여행] 멜번컵에 열광하는 사람들 (0) | 2006.06.05 |
[스크랩] [동영상] 강릉농공고 축구 응원단 바디 섹션 (0) | 2006.06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