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행복
- 성공의 지혜
- 우리 몸의 세가지 보물
- 부자의 세계
- 아름다운 세상
- 온고지신
- 부자의 길
- 아름다운 꽃
- 성공
- 지도자의 3가지 조건
- 10년 경험
- 부자
- P세대
- 새로운 도전
- 한국인의 저력
- 상선약수
- 부자의 약속
- 새로운 삶
- 부자의 삶
- 성난 황소의 돌진
- 신오복
- 성공의 길
- 돈과 여자
- 신삼강오륜
- 직업
- 경제의 힘
- 부자의 인생
- 성공의 선택
- 부자의 땅
- 인재난
- Today
- Total
목록성공 (6878)
시철과 신념
침묵하면서... 글/ 이 문 주 당신을 사랑하는 날 부터 필요 없을 것 같아 이별은 준비하지 않았다 바람은 언제나 스치고 만다는 것을 구름은 한곳에 머무르지 않고 강물은 흘러간다는 사실도 망각한 채 내 곁을 떠난다는 당신은 생각하지 못했다 늘 바보의 이름으로 불렸지만 당신만 그렇게 불러주기를..
히딩크를 경험한 한국 축구는 어느 정도 성장했을까? 2006년 월드컵을 앞두고, 히딩크의 유산을 생각하다... =-=-=-=-=-=-= 1) 히딩크 이후 아드보카트 감독까지...4년마다 축구에 환장하는 나라는 많습니다. 월드컵이 있기 때문입니다. 그런데 자세히 살펴보면 월드컵은 4년 ‘마다’가 아니... 가져온 곳 : [미카엘의 행복찾기] 글쓴이 : 미카엘 바로 가기

[이덕일 사랑] 두 독서광(狂)의 독서법 ▲ 이덕일 역사평론가 조선의 유명한 독서 광 김득신(金得臣 ·1604~84)의 시문집 ‘백곡집(栢谷集)’이 최근 국역(國譯)되었 다. 읽은 편명(篇名)의 횟수를 적은 ‘독수기(讀數 記)’를 남긴 김득신은 ‘사기(史記)’백이전(伯夷 傳)을 11만 1000번 읽었고, 이를 기념..
행복한 직장생활 위한 조언 10가지 美 최대 구인구직사이트 몬스터닷컴의 새해맞이 ‘도움말’들 1. 개인적인 걱정거리를 직장에 가지고 오지 말자. 개인적인 걱정거리를 직장에 가지고 오는 직장인은 행복한 직장 생활을 할 수 없다. 밸런스팀의 공동창업자인 앨리슨 로드스는 “자녀가 응급실로 실려 갈 경우가 생긴다 하더라도 사생활이 직장 내에서 문제를 일으키지 않도록 유의하라”고 따끔하게 말했다. 로드스에 따르면 직장생활에서 사생활을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거꾸로 집에 돌아갔을 때 일에서 완벽하게 해방될 수 있다는 것과 같은 뜻이다. 그러므로 개인적인 걱정은 집에 놔두고 사무실에 들어서야 한다. 그리고 출근 뒤부터는 오로지 일에만 신경을 쓰자. 2. 사무실을 보금자리로 만들자. 직장인들의 하루 근무시간인 8..

[일사일언]"일은 내 운명" 30대 후반인 지금도 물론 한창 일할 나이 임을 알고 있다. 하지만 내게도 정신 적, 육체적, 물리적 업무량의 정점이던 시절이 있다. 30대 초반, 최고의 노동강도에 따른 최고의 수 입에 짭짤해 하던 즈음의 나는 잠들기 5분 전 까지 일 생각을 하다가 깨자마자 5분 안에 다 시 일 ..
오늘의 꽃은 바로 당신입니다 세상엔... 아무렇게나 피어있는 꽃은 없습니다. 마지못해 피어있는 꽃도 없습니다. 아무렇게나 태어난 인생이 없듯이 마지못해 살아가는 인생도 없어야 합니다. 한 사람... 한 사람... 소중한 삶입니다. 그 삶이 힘들거나.. 슬프거나.. 아플지라도.. 삶은 아름답고 귀한 것입..
[이규태코너] 신용 교육 한양 종로에 깔려 있던 육의전(六矣廛)의 상인 사회에는 독특한 문화가 계승됐었다. 이를테면 아버지가 노후에 자식에게 단골손님 의 명부인 복첩(福帖)을 넘겨주는 것으로 가권 (家權)이 이양되었다. 이 복첩은 조상의 신주와 벽 높이 나란히 모셔 신격화했으며 그 단골손님 ..